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무언의 말, 비언어적 의사소통

2025년 5월 6일

작성자 - 강연재

우리는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 그 속에 담긴 메시지를 파악하는 것과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그 사람이 전달하는 비언어적 메시지 또한 해석하고 있습니다. 상대방의 손동작, 자세, 얼굴 표정, 심지어 말의 톤이나 그 사람의 시선, 그 사람이 공간에서 자치하는 위치까지도 비언어적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언어의 의미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일반적으로 정서적이거나 평가적인 내용은 언어적 방식보다도 비언어적 방식으로 더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말로는 화가 나지 않았다고 한들 표정과 목소리에 화가 났다면 우리는 그 사람이 화가 나있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밖에 없겠죠?

우리 아이들은 부모님과 선생님의 이러한 정서적인 힌트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답니다. 따라서 올바른 비언어적 방식을 통해 아이와 소통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럼 바람직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메시지를 전달하기 전에는 아이의 눈높이에서 마주보고 자주 눈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아이의 주의를 끌어주고, 내가 아이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2. 감정을 전달할 때에는 말과 비언어적 행동이 일치해야 합니다. 말과 행동이 일관되어야만 메시지가 더욱 분명해지고 진심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감정을 억누르거나 다른 감정으로 덮으려고 하면 아이는 이러한 이중 메시지에 혼란을 느끼고, 비언어적 메시지를 불신할 수 있습니다.

3. 아이가 말을 할 때 중단시키거나, 말하던 도중 주저하는 아이의 말을 가로채고 재촉하지 말아야 합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는 듣기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상대의 말을 들어주는 태도를 어른을 통해 배우는 것입니다. 아이가 말을 하면서 머뭇거리는 것은 정상적인 것이므로 스스로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배려함으로써 아이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 주어야 합니다.

4.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날카로운 소리는 아이를 놀라고 겁먹게 할 뿐 아니라 어른이 자기 조절을 못한다고 생각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의 주의를 끌기 위해선 손짓을 하거나 손뼉을 칠 수도 있고, 목소리 톤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5. 부모님과의 신체적 접촉은 특히 6세 이하 아동의 정체성 형성과 대인 관계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입니다. 신뢰가 형성된 어른과의 친밀한 신체적 접촉은 개인적 관심 형성의 중요한 수단이 되기 때문에 아이의 등을 토닥이거나 포옹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 아동에게까지도 유용한 메시지가 되므로 어쩌면 어른에게보다도 아이에게 더욱 중요한 수단일 수 있습니다. 말은 아니지만, 말보다 더 많은 의미를 담아낼 수 있는 무언의 말, 비언어적 메시지를 잘 사용한다면 아이들과 더욱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교문사. Marjorie et al. 박경자 외 역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