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윤도경
⊙ 자기효능감이란?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특정한 문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을 말합니다. 중요한 결정을 수행하고 선택을 해야 하거나 도전을 해야 할 때 얼마나 오래 버틸 수 있는지 등에도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상황을 회피하거나 쉽게 포기하기보다는 어려움을 이겨내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려고 합니다. 그러면 자기효능감은 아이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연구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사고유형 및 정서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아이일수록 학업 성취도 또한 높다고 하네요~ ^^
⊙ 아이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는 일반적으로 자기효능감을 가족 내에서 처음 경험하게 되는데, 이 때 부모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아이가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기 위해서 부모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우선, 아이의 행동과 생각, 의사표현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해주세요. 아이는 부모가 내 말을 들어주고 나를 이해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 자기효능감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또한, 지나친 기대와 과잉 보호 보다는 아이가 혼자서도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신념을 가질 수 있게 자율성을 부과해주세요. 이외에, 부모와의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도 아이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J
홍영란,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 392-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