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부모의 양육 유형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김유현

부모의 양육 유형은 크게 요구 (demandingness)와 반응 (responsiveness)의 두 차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요구는 말 그대로 얼마만큼 아동에게 무엇인가를 요구하는지, 즉 아동의 행동을 통제하는 정도이고, 반응은 그 반대로 얼마나 아동의 행동을 받아들이고 아동이 하고 싶어하는 대로 놔두는지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지금부터 요구와 반응, 이 두 차원을 바탕으로 나뉘어지는 4가지의 부모 양육 유형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권위적인 양육 유형 (Authoritative parenting): 온정적이며, 아이의 요구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지만, 자녀에게 확고하면서도 합리적이고 일관된 원칙을 제시하여 자녀가 옳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이들은 자녀의 행동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는 자율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조정 기술을 사용한다.

►권위주의적인 양육유형 (Authoritarian parenting): 자녀의 행동을 확고한 원칙을 통해 통제하나 자녀의 요구를 덜 수용하며, 자녀의 자율성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부모의 자녀는 부모가 냉담하고 자신을 거부하고 비난한다고 생각한다. 부모는 자녀와 민주적으로 의견을 조정하기보다는 명령, 위협, 체벌을 통해 강압적인 방식으로 자녀의 의견과 행동을 통제한다. 권위주의적 양육 태도를 가진 부모의 아이들은 항상 불안하고 낮은 수준의 자존감을 가지며, 불만족스러운 상황에서는 강한 분노를 보이기도 한다.

►허용적 양육 유형 (permissive parenting): 온정적이고 자녀의 요구에 대해 수용적이지만, 지나치게 관대하거나 일관된 양육의 원칙이 없는 양육 태도를 말한다. 부모로서 자녀들의 행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조정하려는 의지도 없고, 자녀의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자녀가 모든 결정을 하도록 허락한다. 허용적 양육 태도를 가진 부모의 자녀는 충동적이거나 반항적이다.

► 방임적 양육 유형 (uninvolved parenting): 자녀에 대해 온정적이지도 않으며, 자녀의 행동을 적절한 원칙 제시를 통해 조절하려는 시도도 하지 않는다. 이런 양육 태도를 가진 부모는 부부 갈등, 경제적 문제,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와 우울증으로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부모가 아동의 발달 초기부터 이런 양육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애착 관계 형성, 인지 발달, 놀이관계 발달, 정서적/ 사회적 기술의 발달 등 발달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네 가지 유형 중에서 권위적인 양육 유형이 가장 바람직한 부모-자녀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권위적인 부모의 애정과 적절한 수준의 조절, 자율성의 인정은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 및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녀가 성장하면서 부모는 자녀 양육의 기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가 아닐 수 없는데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양육 유형을 아이의 성향에 맞추어 주는 것이겠죠~?

윤가현, 권석만, 김문수, 남기덕, 도경수, 박권생, 송현주, 신민섭, 유승엽, 이영순,
이현진, 정봉교, 조한익, 천성문, 최준식, 「심리학의 이해」, 제 4판, 7과: 227-228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