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김시온
엄마는 영희가 과자를 먹지 못하도록 찬장 속에 과자를 숨겼어요.
하지만 영희는 과자를 너무 먹고 싶었어요. 그래서 의자를 가져다 놓고 과자를 꺼냈어요.
그러다가 와장창, 그만 접시가 하나 깨지고 말았네요!
철수는 엄마를 도와드리고 싶었어요. 그래서 부엌에 가서 설거지를 했답니다.
그러다가 비눗물에 손이 미끄러지는 바람에 그만, 접시를 열 장이나 깨고 말았어요.
영희와 철수 중에 누가 더 나쁜 어린이인가요?
위와 같은 질문을 받게 된다면, 성인들은 철수보다 영희가 더 나쁜 아이라고 대답합니다. 성인들은 도덕 판단을 할 때, 결과(접시 1개/접시 10개)보다는 의도(엄마 몰래 과자를 먹으려 함/엄마를 도와주려고 함)에 더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연령대의 아이들이 성인과 같은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 스위스의 심리학자인 장 피아제(1896-1980)는 5세에서 13세 사이의 아동들을 관찰한 결과 아이들의 도덕적인 발달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5세부터 10세 사이의 아동들은 행동한 이의 의도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래서 이 시기의 아동들은 접시를 열 장이나 깬 철수가 한 장만 깬 영희보다 더 나쁘다고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또, 부모나 선생님의 절대적인 권위에 기초해서 도덕적인 판단을 내리기 때문에, 판단이 경직되어 있기 쉽습니다. 하지만 10세가 넘어가면 아이들의 도덕적인 판단이 점차 유연해지기 시작합니다.과거에는 절대로 변할 수 없었던 원칙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또,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도 발달하기 때문에 위의 질문에서도 의도에 초점을 맞추는 성인과 유사한 도덕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성인들이 아이들을 대할 때, 아이들은 역시 성인과 같은 방법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을 것이라는 착각을 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성인들의 사고방식 역시 발달의 이정표 아래서 서서히 발달해 온 것이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되겠죠? 따라서, 지금 이 시기의 아이들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작정 혼내고 다그칠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바라보고 있는 세상에 기초해서 아이들과 대화할 때, 더욱 더 효과적으로 아이들을 양육할 수 있을 것 입니다!
Child Development(8th), Laura E. Be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