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조경은
“공부 안하니?” 아이들은 종종 부모님의 이런 강요에 못 이겨 어쩔 수 없이 방 안에 들어가곤 합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들의 집중도도 떨어지고, 효율도 안 오르고, 공부에 대한 관심마저 낮아질 지도 모릅니다. 억지로 책상 앞에 앉히기보다는, 아이들의 자기 조절 능력(self-regulation)을 키워주세요.
먼저 계획적인 학습의 중요성을 알려주세요. 아이들이 학습 과제를 분석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과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잘 비교하고 고민하게 하세요. 또한 얼마나 시간을 들일 것인지, 끝내야하는 과제의 연습과정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학습 목표를 세우게 합니다.
두 번째로 효과적인 학습 전략(방법)을 제안하세요. 아이들에게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리고 왜 그런 방법들이 효과적인지 잘 설명해주신다면 아이들도 그 방법을 언제 사용해야하는지, 왜 사용해야하는지 알게 될 것입니다. 다만 그 전략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설명을 통해서 아이 스스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 학습의 과정을 체크하도록 도와주세요. “내가 집중하고 있나?”, “내가 계획한 전략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나?”, “이 전략이 정말 효과적일까, 아니면 수정해야할까?” 등의 질문에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을 확인하도록 격려해주세요.
마지막으로 아이들이 활용한 전략의 효과(효율성)를 평가하도록 도와주세요. “내가 얼마나 잘 수행하였는가?”, “나의 학습 전략은 효과적이었나?”, “어떤 전략이 더 효과적이었을까?”, “다른 과제들 중에서 내가 활용 중인 전략을 사용했을 때 도움 되는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와 같은 질문을 던지며 아이들 스스로 학습 성과를 평가하는 과정은 아이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도울 것입니다.
단순히 ‘공부해!’라며 아이들을 책상 앞으로 떠미는 것보다, 이렇게 부모님과 소통하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면 아이들은 스스로 과제를 해결해나갈 것입니다.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자녀들은 아직까지 공부를 전략적으로 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습관화되어있지 않을 뿐이랍니다. 아이들이 과제에 관심과 자신감을 가지고 임할 수 있도록 부모님이 함께 도와주세요.
Child Development (8th edition) by Lavra E. Berk, Allyn&Bacon p.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