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아이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칭찬하기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원채은

아이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칭찬하기


칭찬은 아이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칭찬이 항상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께서 아이를 무분별하게 칭찬하면 아이는 칭찬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되며, 부모님이 자신에게 한 칭찬이 진심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는 부모님-아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칭찬을 과도하게 많이 받았을 때 아이들의 내적 동기나 흥미는 감소하고 이들의 자율성은 저해됩니다.

그러나 아이가 한 일에 대해 효과적인 칭찬으로 반응해 주는 것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칭찬이 만족해야 하는 세 가지 기준 >

1. "선택적인 칭찬"은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상황에 대해 칭찬하는 것이다.

모든 상황에서 칭찬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아이에게 일반적으로 하는 말도 아니어야 합니다. 너무 큰 대상을(예. 전체 학급, 그 상황 속에 있는 불특정한 다수들) 칭찬 하기 보다는 그 순간에 개별 아이에게 칭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구체적인 칭찬"은 아이에게 무엇을 칭찬하는 것인지 분명하게 알려 주는 것이다.

예) “잘했어.”(X) “그림을 다양한 색깔을 이용해서 예쁘게 그렸구나.”(O), “뭘 그릴지 많이 생각했구나.”(O)


3. "긍정적인 칭찬"이어야 한다. 부정적인 비교도 없으며, 누군가를 높이기 위해서 다른 누군가를 낮추는 것도 아니다.




효과적인 칭찬은 대부분 아이의 행동이나 말을 반영하거나 이에 대해 단순한 정보를 주는 말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아이 자체를 평가하지 않는 것입니다. 효과적인 칭찬을 잘 사용하면 아이가 자신을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보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아이의 자아 및 사회적 이해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칭찬하는 방법 >

1. 아이의 노력과 성취를 인정하는 행동 반영을 한다.

“오랫동안 그림을 그렸네.”, “터널을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찾았구나.”와 같이 비판단적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아이 스스로 노력의 적절성을 판단하게 하고, 또한 부모가 아이의 능력이 향상된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일상생활에 자신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도와줍니다.


2. 아이의 긍정적인 변화에 주목한다.

“지난번에는 첫 번째 계단만 올라갔는데, 지금은 제일 위에까지 올라가네.”, “모양 맞추기를 하는데 아주 빨라졌는걸”과 같이 아동 능력의 변화를 반영해줍니다.


3. 아이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지적해 준다.

“너는 지연이가 놀이에 잘 끼지 못하는 것을 알았구나. 네가 도와주어서 이제 지연이는 잘할 수 있단다.”


4. 아이가 만들어 낸 것만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하려는 노력의 긍정적인 층면에 초점을 맞춘다.

“좋은 그림인걸.” 이라고 말하기보다는 “네가 붓으로 종이 위에 그린 것 좀 봐. 10분 만에 이렇게 멋진 그림을 그렸구나.” 라고 말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5. 정직하게 칭찬하고, 아동에게 진심 어린 피드백을 한다.

예를 들어 수지가 책 읽기를 어려워하고 있다면, “새로운 단어를 읽으려고 하고 있구나.” 혹은 “혼자서 그 페이지를 다 읽었네.”라고 말해줍니다. 수지는 아직 책을 유창하게 읽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이 때 막연하게 칭찬하는 것은 신뢰감을 떨어뜨리고 아이를 당황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6판 (교문사), Marjorie J. Kostelnik 외 지음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