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우리아이는 어떻게 생각할까?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성아윤

우리아이는 어떻게 생각할까?


아이들은 어른들과 다른 눈으로 세상을 바라봅니다. 이는 아이들의 지능이 낮아서도 아니고, 아이들의 지식이 부족해서도 아닙니다. 그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이 다른 것이지요~ 아이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눈은 어떻게 다를까요? 학령 전 단계인 2~7세 아동의 사고방식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①아이들은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생각은 행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이는 것에 제한되지요. 그 예로,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에 나오는 5살 제제는 자기 안에 다른 누군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래서 소리 내지 않고,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이야기 하지요. 이런 발달의 시작은 불완전 하기는 하지만, 사고가 시작된다는 점에서는 놀라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②이 시기 아이들 사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자기중심성입니다. 이건 아이들이 이기적이라는 뜻이 아닙니다. 아직 타인의 시선이나 입장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이시기의 아이들은 엄마에게 생일선물로 로봇을 주고 신나합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니 엄마도 당연히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D


③이 시기 아이들은 모든 물체가 생명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저 나뭇가지가 나뭇잎을 밀었어요”, “저 길이 나를 넘어뜨렸어요”라는 식의 말은 아이들의 이런 믿음을 잘 보여주지요


④이 시기의 아이들은 물체의 여러 특성들 중에 한 특성에만 치중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런 사고의 특징은 ‘보존개념 실험’에서 잘 보여 집니다.
가장 대표적인 보존개념 실험은 모양이 다른 두컵의 물의 양 맞추기입니다. 아이들은 두컵의 물의양이 다르다고 말합니다. 심지어 아이들 눈앞에서 다른 컵으로 부어도, 물의 양이 더 많아졌다고 말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물체의 한 특징에 집중해서 판단하기 때문이지요^^ 아이들은 컵의 모양은 생각하지 못하고, 오직 물의 높이에만 집중해서 문제를 판단한답니다.

child development, Laura E. Berk, Allyn and Bacon , 2003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