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최예림
만 2세는 자의식이 싹트는 시기임과 동시에 공감능력도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이 때 놀이 행동은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놀이 행동을 단순히 노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다른 아이들과 순서를 정하여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든가 게임에서 이기고 지는 것을 경험함으로써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교육학자 밀드레드 파튼(Mildred Parten)에 의하면 놀이는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만 2세 - 평행놀이
- 특징 및 주의사항: 따로 또 같이. 아이들을 한 공간에서 놀게 할 경우 전혀 상호작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습니다. 혼자 놀 때보다 같이 있을 때 더 집중하여 놀게 되며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끼칩니다.
Ex) “저 아이는 왜 저 장난감을 가지고 놀지? 만약 저 아이와 내가 같이 논다면 어떤 놀이를 할 수 있을까?”
부모님이 개입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상대방에게 어떤 말과 행동을 보여야 좋을지 알려주신다면 다음 놀이 단계로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 3세 - 연합놀이
상대방의 존재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으며 그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단계입니다. 이 시기부터 부모님은 안전상의 문제가 없는 한 아이의 놀이 행동에 되도록이면 개입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만 4세 - 협동놀이
최상의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며 서로 순서를 정하고 역할분담을 할 수 있게 됩니다.
Tips!
부모님이 자녀에게 어울리는 친구를 ‘골라주기’보다는 아이들의 자율성을 존중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아이들과 어울리며 발생하는 갈등을 스스로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감정조절능력, 공감능력 등을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퍼펙트 베이비, EBS 퍼펙트 베이비 제작팀, 와이즈베리, p. 270-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