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원채은
우리 아이의 스트레스 관리하기
오늘날 세 명의 아동 중 한 명은 만성 스트레스 증후군으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아동은 성장하면서 고통스럽고 복잡한 감정을 경험할 때에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으로 반응하는데 그 과정에서 그러한 감정에 대처하는 요령을 배우게 됩니다. 이때 아동의 대처 방식을 존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아동의 긍정적인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스트레스를 줄여 주는 기술 개발하기
1.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초기 신호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아동의 대처 기술을 관찰한다
-위축되거나 부정적 정서를 드러내놓고 표현하는 아동에게 주의를 기울인다. 아동이 저항하거나 회피하려 해도 인내심을 갖고 이들을 좀 더 편안하게 해주려고 시도한다.
2. 비언어적으로 주의를 기울인다
-아동의 말과 감정에 귀를 기울이고, 자세, 얼굴 표정, 목소리 톤 등을 통해 변화를 관찰한다. 이해해 주고 관심과 애정을 표현하는 몸짓을 한다.
3. 효과적인 행동과 정서적인 반영을 해준다
-아동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성의를 다해 도와주고 지도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분명하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문제에 대해 표현하고 설명한다. 이 때, 아동에게 크면 문제가 없어진다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4. 외상을 주는 사건에 대한 아동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 아동이 그린 그림을 이용한다
-아동의 그림을 통해 혼란스럽고 겁을 내는 아이들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 ‘왜’ 혹은 ‘무엇을’의 질문은 하지 말고, 그림을 살펴보고 “그림에 있는 사람들이 어떤 느낌을 갖고 있을지 궁금하구나.” 와 같은 말을 한다.
스트레스 예방하기
1. 운동과 양질의 식사 같은 습관을 통한 스트레스 대처 방법을 가르친다
2. 있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과 긴급사태 시 어떻게 대처하는지 가르친다
3. 괴로운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어휘를 확장시켜 준다
4. 긴장된 상황에서 10까지 세거나 어떤 상황에 반응하기 전에 편안한 마음으로 조용히 앉아서 긍정적인 혼잣말을 하는 법을 가르쳐 준다
5. 아동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해 준다
6. 무섭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나 변화 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일의 활동이나 경험 속에서 사람들의 감정, 생각, 행동을 이야기한다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6th) Marjorie J. Kosteln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