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오혜원
칭찬은 아이에게도, 어른에게도 필요하다는 것을 우리 모두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칭찬은 항상 아이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나쁜 칭찬도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예를 들어, 과도한 칭찬은 아이의 내적 동기나 자율성, 자기 확신을 낮추어, 오히려 자아존중감을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잘난 척을 하게 될 수도 있죠. 한 연구에 따르면, 선생님이 아이를 무분별하게 칭찬하면, 아이는 점점 칭찬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더 나아가, 선생님의 칭찬이 진심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선생님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럼, 어떻게 칭찬을 하는 것이 좋을까요?
1) “잘했어.”와 같이 두루뭉실하고 항상 똑같은 칭찬대신,
“여러 가지 색을 사용해 그림을 잘 그렸구나.”와 같이 구체적인 행동을 상황에 맞게 칭찬해주세요.
2) 단순히 아동의 능력을 평가하는 “그림을 잘 그리는구나.”, “정말 똑똑하구나.”보다는,
“그림을 열심히 그렸구나.”, “정말 열심히 생각했구나.”와 같이 아동의 노력을 인정해주세요.
3) “친구보다 훨씬 잘했네.”처럼 남과 아이를 비교하는 칭찬대신,
“이번에는 전에 몰랐던 단어를 두 개나 더 썼구나.”처럼 이전과 비교한 아이의 발전을 칭찬해주세요.
4) “잘 했으니깐, 장난감 사줘야겠다.” 식으로 외적 보상과 연결시기 보다는,
“책을 세 권이나 읽어서 기분이 좋아 보인다.” 식으로 내적 만족을 강조해주세요.
효과적인 칭찬으로 아이의 자아존중감을 높여주세요!
박경자 외,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6th edition), 교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