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1일
작성자 - 김효권
당신의 자녀는 지금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나요? 갑작스러운 신체의 변화로 인한 혼란, 경쟁적인 학교 분위기, 선생님, 부모와의 대화의 단절, 또래 친구들로 부터의 압력 등이 청소년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보편적이면서도 결정적인 요인들로 꼽힙니다. 아마, 살아가면서 이러한 요인들 중 하나라도 겪고 있지 않은 축복받은 청소년은 그리 많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스트레스를 상황에 따라서 더 받고, 덜 받을 수는 있겠죠. 하지만 설사 환경적인 요인이 완벽하게 갖추어진 곳에서 살아가는 청소년이 있다고 하더라도,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급격한 발달을 경험하는데다,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청소년의 특성 상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런데 주위를 둘러보면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갑은 집안 환경도 좋고, 성적도 우수한데다,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늘 불만에 가득한 얼굴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살고 있습니다. 반면 을은 어려운 환경에, 성적이 좋지 않아도 무슨 배짱인지 늘 여유롭게, 웃으며 삽니다. 우리가 살면서 어렵지 않게 보게 되는 갑과 을의 모습입니다. 환경적으로 스트레스를 덜 받을만한 갑은 오히려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살고, 누가 보아도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는 을은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운 것처럼 보이다니요. 누구나 살면서 이러한 의문을 한번 쯤 가져보았음 직 합니다.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 우리는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 동안의 청소년 스트레스 연구가 청소년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외적 요인들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최근에는 청소년이 스트레스를 수용하는 내적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새롭게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외부에 존재하는 스트레스 상황 자체보다는 그 상황에 대한 청소년들이 상황지각과 자기신뢰를 통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가 길러진 청소년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가운데 놓여도, 받은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청소년은 아무리 좋은 환경 중에 있어도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지 못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앞에서 보았던 갑과 을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청소년 스트레스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관을 강화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가장 궁금한 점은 자녀들의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자기신뢰를 어떻게 형성하고, 강화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 것일 텐데요. 청소년은 타인의 자신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고, 자신이 집단에서 중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자각할 때, 긍정적인 자아관을 형성해 나갑니다. 긍정적 자아관은 청소년이 살아가는 모든 환경에서 조금씩 형성되어 갑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자아관의 기틀은 가정에서 다져진다는 점입니다. 당신의 자녀에게 관심을 가지고, 동의와 격려의 한마디, 한마디가 자녀의 정체성에 중요한 주춧돌이 될 것입니다.
1.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요셉 ( Jo Seph Kim ) , 김성천 ( Sung Chun Kim ) , 유서구 ( Seo Koo Yoo ) , 신애원 ( Ae Won Shin ), 한국청소년학회 | 청소년학연구 | [2011년]
2.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간의 구조분석, 송현옥 ( Hyeon Ok Song ) , 박아청 ( Ah Chung Park ), 한국교육심리학회 | 교육심리연구 | [200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