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청소년 게임 중독

2025년 6월 21일

작성자 - 권혜원

부모세대와 달리 청소년들의 여가시간 활용이 ‘컴퓨터 게임’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것이 단순한 여가 활동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과 학업에 영향을 주는 ‘중독 증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게임중독’이라는 용어는 ‘게임에 몰입하고 탐닉하여 만족하기 위해서 게임시간을 더 늘이는 내성현상과 학업에 소홀하고 일상생활에 흥미를 잃어 현실의 인간관계보다 게임에 몰두하고 게임을 하지 않으면 불안, 초조, 환상 등의 금단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Young, 1999)



<청소년의 게임중독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

1. 개인의 우울

2. 불안,

3. 충동성

4. 낮은 자존감

5.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부재

6. 사용욕구가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은 아직 부모님의 영향력 아래에 있으므로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게임중독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1. 부모의 자녀양육방식

2. 부모-자녀 의사소통

3. 부모의 지지

4. 부모-자녀간의 신뢰

5.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에서 대화수용성과 배려성

6. 부모의 통제 등은 청소년 게임중독과 관련된 요인입니다.



자녀들이 아동기에 있을 때에는 부모님의 강압적인 방식이 자녀들의 행동을 통제하는 데 효과를 발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동이 청소년기에 접어들게 되면 그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무조건 게임은 안 된다’고 하는 부모의 강압적 태도는 자녀에게 반감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이에 대한 도피처로 게임을 선택하게 되어 중독의 정도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의 게임 이용이 무조건 나쁘다는 생각에서 대화를 시작해서는 좋은 반응을 불러 일으킬 수 없습니다. 자녀의 게임이용을 부분적으로는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여(예를 들면 ‘친구들 사이에서 이 게임이 인기가 많니?’ 등과 같이 자녀가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소재로 대화를 시작) 게임 중독에 대한 대화를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자녀를 불신하는 태도는 대화를 어렵게 하므로 부모님은 자녀에 대한 신뢰와 사랑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장미경 (2011). 청소년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77-297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