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세대학교 발달심리 연구실

Yonsei Human Development Lab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요인

2025년 6월 27일

작성자 - 송미리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요인에 대하여.

학교의 규범, 질서를 준수하고, 수업 참여도가 높으며,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여 적절하고 조화로운 학교생활을 하고 자기자신도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경우를 ‘학교적응’으로 정의했을 때 학교적응을 잘 하는 아동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습니다.

먼저 다른 아동에 비하여 자기존중감과 사회성기술이 높았고,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는 낮았습니다. (내면화 문제란 불안, 우울, 신체화, 대인관계 위축 등의 문제를 의미하고, 외현화 문제는 비행이나 공격성 등의 문제를 의미합니다. 이들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가 심각함을 나타냅니다.)

학교적응을 잘 하는 아동은 또한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보다 긍정적, 개방적이며 부모양육태도를 보다 애정적이고 민주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적 요인 중에서는 자기존중감이 학교적응을 가장 잘 설명해주었고, 가족 요인 중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과 학교에서 아동에게 자기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단위 집단상담이나 부모교육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며 학교적응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효과적인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이나 대인관계(공감 및 자기표현) 기술을 증진시키도록 도와주고 비행이나 공격성 같은 외현화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04, Vol.16, No.2, 261-276. 이정윤, 이경아.

Copyright ⓒ Human Development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02)2123-4887, 2449.  yonsei.child@gmail.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