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2025년 6월 21일
작성자 - 조이수
아기들은 평균 10-15개월에 첫 단어를 구사합니다. 물론 그 전부터 아기들은 단어에 대한 이해를 할 수는 있지만, 이 기간이 되어서야 한 단어를 표현해낼 수 있게 됩니다. 아기들이 첫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면 기하급수적으로 말할 수 있는 단어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는 시기가 있는데 약 18개월쯤 되는 이 시기를 ‘어휘 급증’의 시기라고 합니다(Bloom, Lifter, & Broughton, 1985). 대부분 아기들이 처음 말하게 되는 단어는 아기 주변에 있는 인물-예를 들어 엄마, 아빠 등- 이나 장난감, 동물의 울음소리, 음식과 같은 단어들입니다. 이러한 어휘가 급증하는 시기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Bloom, 1998), 이 시기에 아기들의 말 표현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오류들을 발견해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가끔 자신들이 쓰는 단어의 의미를 과잉 확장시키거나 과소 제한시킵니다(Woodward & Markman, 1998). 그럼 ‘과잉 확장과 과소 제한’이라는 오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오류는 ‘과잉확장’이라는 것입니다. ‘과잉확장’이란 하나의 단어를 적절한 대상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대상에까지 적용하여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아기들이 ‘아빠’라는 단어를 사용할 때, 아기는 자신의 진짜 아버지에게 ‘아빠’라고 칭할 뿐만 아니라 지나가는 아저씨나 모르는 남자아이 등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에게 ‘아빠’라고 부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오류는 ‘과잉확장’과 반대되는 ‘과소제한’이란 것입니다. ‘과소제한’은 단어가 가리키는 실제 의미보다 더 협소한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초코칩 쿠키를 ‘과자’라고 배운 아기는 초코칩 쿠키만 ‘과자’라고 말하고 아몬드가 박힌 쿠키나 오트밀로 만든 쿠키는 ‘과자’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위의 두 가지 오류는 아기가 한 개의 단어를 말하는 시기에 자주 범하는 오류인데, 이는 아기가 단순히 무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것이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자를 ‘아빠’라고 부르는 아이는 정말로 모르는 아저씨를 ‘아빠’라고 생각해서 ‘아빠’라고 부르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모르는 아저씨가 자신의 ‘아빠’가 아님을 알지만, 그 사람을 지칭할 수 있는 단어를 모르기 때문에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모르는 아저씨와 가장 비슷한 특징을 가진 단어를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단어를 말하는 시기의 아기가 ‘과잉확장’이나 ‘과소제한’의 오류를 범한다고 해서 비정상적이거나 아이가 아둔하다고 간주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아기들이 언어를 발달하는 데 있어서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Child Development (8th edition) by Lavra E. Berk,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