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Human Development Lab


발달심리연구실
2015년 2월 3일
김윤회 공부습관 예스클래스 러닝센터 원장
아이에게 어떤 책을 읽히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습니다. 교육심리학자들의 독서발달 연구를 참고하면 아이들의 독서 교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Chall이나 Gates 같은 학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독서발달 단계와 독서지도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3~4세의 유아기는 언어의 기본 구조를 습득하고 어휘 능력을 키워나가는 시기입니다.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기 시작하고 아는 단어수가 늘어납니다. 대부분 아직 문자를 익히지 못했기 때문에 엄마가 읽어주거나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상상력을 키워 나갑니다. 이 시기 독서자료는 아이들이 문자에 관심을 갖고 익숙해질 수 있도록 그림과 문자가 적절히 어울린 것이 좋습니다. 이야기 구조가 단순하고, 친근한 사물이나 생활과 관련된 내용이면 정서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색깔, 크기, 수 등의 개념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된 책은 아이들의 기초 인지 발달에 도움됩니다.
5~6세가 되면 아이들은 상당한 언어능력을 갖게 되고 빠른 아이는 스스로 글자를 읽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직 글자 읽기 단계이며 글의 맥락이나 인과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아이들의 상상력은 더욱 구체화됩니다. 상상력의 범위가 어른들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아이들은 비현실적인 동화를 좋아합니다. 간단하면서도 그림이 많은 책이 아이들과 쉽게 친근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시기의 독서에 대한 관심은 이후의 학습 능력과 연결되니까 매우 중요합니다.
7~8세는 단어와 문장에 의미가 있으며 독서는 의미를 구성해 내는 행위라는 것을 인식하는 시기입니다. 음운론적 규칙은 아직 잘 모르지만 알고 있는 단어수가 크게 증가하며, 언어 지식과 행위가 말에서 글로 발전하게 됩니다. 아이들의 독서 성향은, 선과 악을 구별하고 그것이 대결하는 내용을 좋아합니다. 또한 동물이나 사물들이 말하고 행동하는 교훈적인 우화나 공상적인 이야기에 관심을 갖습니다. 독서 습관이 정착될 수 있는 시기입니다. 읽고 싶은 책을 스스로 고르게 하는 것도 독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9~10세에는 읽기 능력이 빠르게 발전합니다. 더 이상 글자에 얽매지 않고 문장 수준의 읽기와 맥락 이해가 가능해집니다. 긴 문장을 의미 중심으로 끊어 읽기 시작하고 소리내어 읽기에서 눈으로 읽는 단계로 전환됩니다. 어휘력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고, 모르는 단어도 문맥을 통해 알아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우화나 공상적인 이야기에 여전히 흥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가 현실 세계에 익숙해지면서 생활 동화나 기초적인 과학 도서에도 관심을 갖게 됩니다.
11~12세는 문장과 글의 맥락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는 시기입니다.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정보의 이해와 추론, 적용등을 할 수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므로 지적인 호기심도 커지고 역사나 사회, 과학, 예술 등 본격적인 학습독서가 시작됩니다. 이 시기의 독서는 양이 많아지고 수준이 높아지므로 때로는 인내심이 요구됩니다. 이 시기에 독서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공부에 흥미를 잃게 되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독서는 하나의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작가와 독자의 대화이고, 사회와 개인의 대화입니다. 독서는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유용한 통로입니다. 그래서 어린 시절의 바른 독서교육이 중요 합니다.
워싱턴 중앙일보, 기사 작성일: 2014/12/02 05:11